본문 바로가기

Linux3

[Linux] 압축파일 형식 및 사용방법 현재 작성중이므로, 내용, 글씨 달라질수 있음. jar / tar / gzip / zip 1. tar a. tar는 tape archive의 약자로, 파일 형식 혹은 명령어를 의미. b. tar는 압축이 아닌, 묶음파일 이며 기존 디렉토리/파일의 구조를 유지하여 묶여 있기 때문에, 배포용도로 사용된다. tar [옵션] [파일] -f : 대상 tar 아카이브 지정. (기본 옵션) -c : tar 아카이브 생성. 기존 아카이브 덮어 쓰기. (파일 묶을 때 사용) -x : tar 아카이브에서 파일 추출. (파일 풀 때 사용) -v : 처리되는 과정(파일 정보)을 자세하게 나열. -z : gzip 압축 적용 옵션. -j : bzip2 압축 적용 옵션. -t : tar 아카이브에 포함된 내용 확인. -C : 대상.. 2023. 1. 19.
[Linux] 파일 및 디렉토리 Permission(권한) 이해 및 변경 0. 개요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권한 확인 및 변경 1. 파일 확인 및 의미 a. 아래 명령을 사용시 파일, 디렉토리 리스트를 출력히고, 권한 확인 가능. ls -l "조회할 파일명" b. 출력 결과 의미 -rwxr-xr-x 1 test test 0 Jan 13 15:41 test.out 파일종류 및 권한 링크수 소유유저 소유그룹 파일크기(byte) 수정시간(생성시간) 파일/디렉토리 명 c. 파일종류 및 권한 상세 - rwx r-x r-x 종류 owner group other 종류 : - 파일(-), 디렉토리(d)를 구분 owner : 파일소유자의 권한 group : 소유그룹의 권한 other : 다른 사용자의 권한 * rwx는 각각 읽기(read), 쓰기(write), 실행(execute) 권한 *.. 2023. 1. 13.
[Windows/Linux] netstat 명령어 사용법 0. 개요 netstat 명령어 사용하여 사용중인 연결 확인 * 추가적으로 TCP 3-way Handshake, UDP 연결에 관한 문서를 찾아보면 이해가 도움이 될것이다. 1. 사용법 netstat -"옵션" -a : 모든 소켓 정보 출력 -n : 호스트명이나 포트명 대신 숫자로 표시(예를 들어 www는 80으로 출력) -p : 소켓에 대한 PID 및 프로그램명 출력 -r : 라우팅 정보 출력 -l : Listening(대기)하고 있는 포트 출력 -t : TCP 연결 출력 -u : UDP 연결 출력 * 연결 중 상태 : ESTABLISHED * 연결 대기 상태 : LISTEN * port 가 오픈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결과 값이 출력되지 않음. 2. Windows에서 실습 (CMD) * findstr 명.. 2023. 1. 11.